안녕하세요😊
판교불패님의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세상의 모든 시장 이야기]에서 불패크루 2기에 선정된 스콜피롬입니다.
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 경제의 흐름을 알아봅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세상의 모든 시장 이야기를 구독하세요! 경제에 눈에 떠집니다.
다음에 포스팅으로 자세히 올려야겠네요!
https://contents.premium.naver.com/pangyonevergiveup/pangyobulpae
1. 트럼프 취임 첫 날 100건의 행정명령
바이든이 약 40개 정도로 가장 많았는데 100건?!?!? 역시 틈프횽... 남다릅니다.
100건의 내용 중 주목해야할 것은
1) 이민 2) 관세 3) 암호화폐입니다.
1) 이민
처음에는 불법이민자가 많이 추방되면 실업률이 높아지는 거 아냐? 라고 생각했어요.
- 기존 불법이민자의 자리를 대체함
- 실업상태이던 불법이민자가 사라짐의 이유로 실업률이 낮아지는 게 맞았습니다.
실업률이 낮아짐 -> 임금 상승 -> 물가 상승 -> 금리 인상 -> 채권 금리 상승 이렇게 이해했는데, 맞나요?
2) 관세
중국을 필두로 한 브릭스 국가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면서 강한 관세를 부과한다고하죠.
전세계에 10-20%의 관세를 한 번에 부과할 것인지, 단계적으로 높힐 것인지 주목해야겠습니다.
특히나 흥미로웠던 판횽의 견해는 2026년 11월 중간선거가 있기 때문에 취임 초기인 지금 충격을 주고, 25년 후반~26년 초에 성장하는 시나리오!였습니다. 그래서 첫 날부터 달리는 걸까요... 틈프...
3) 암호화폐
다들 판횽의 코인 강의 들으셨나요? 저는 아직 중간까지만 봤는데, 정말 유익합니다. 꼭 보세요!
- 디뱅킹 (암호화폐 산업에 대해 전통금융기관이 계좌를 삭제시키는 행위)
- 암호화폐자산을 부채로 잡는 규제가 완화될지에 따라 비트코인의 전고점이 뚫릴지 갈린다고 합니다.
오늘 2기 톡방에서 현재 비트코인을 팔고, 떨어질 때 다시 팔지 질문했는데 다들 꾸준히 모으라고 추천해주시더라고요.
혹시 같은 고민하시는 분 계시면 팔지 마시고 더 모읍시다!
2. 미국의 부채한도 도달 임박 어떻게 해결하나?
현상황) 6월초 ~ 8월 부채한도 고갈 예정 TGA 또한 고갈 상태
과거 2023년) 23년 6월 협상 끝에 부채 한도 늘림
-> 채권을 발행해 시장에 돈을 빌림 -> 시장의 돈을 빨아들여 주가 하락
현재 주목해야 할 문제는 TGA계좌를 어떻게 채울지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알고 있는 트럼프는 부채 한도를 없애 마음껏 쓰자고 주장하지만, 공화당에서도 반대합니다.
따라서 7월부터 현금을 늘려 하락 시에 줍는 것이 좋다고 판단되네요.
3. SMR (Small Modular Rector) 소형 모듈 원자로
AI기술이 발전하면서 데이터센터 전기 소모가 많아져 개발 중인 산업입니다.
특징
1) 크기가 기존 원전의 1/100 수준으로 작다.
2) 모듈식 설계로 필요한만큼 손쉽게 추가가 가능하다.
3) 안정성이 높다. 사고가 나도 사고 범위가 좁다.
4) 활용도가 높다. 전기 생산, 해수의 담수화, 수소 생산 등
관련 미국주
1)SMR 2) CEG 3) D
주의점
1) 실제 상용되기까지 오래 걸린다. 2030~2032년 예상
즉, 실제 수익은 아직 멀었다.
2) 높은 초기 비용
아직까지는 소량 생산에 개발 단계라 설치시 비용이 높습니다.
3) 기술 발전 속도 느림
AI의 발전 속도가 더 빠를수도 있다는 거죠...
SMR은 현재 상황에서 좋은 거고, 몇 년 뒤 더 좋은 기술이 나올수도 있습니다.
판횽말씀대로 이런 분야는 신중히, 최소 1년 투자할 각오로 투자해야겠습니다.
저는 아직 고민만 하는 중입니다.